'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분류 전체보기22

Linear Prediction과 vocal tract filter 이해하기 (1) Linear prediction음성 신호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신호이지만 아주 짧은 구간에 있어서는 변하지 않는다는 quasi periodic 가정을 두고 분석한다. Linear prediction은 적은 길이의 이전 sample들의 weighted sum으로 현재 sample을 예측한다. 얼마나 짧냐 하면 8000 Hz의 음성 신호에서는 10 sample 만을 가지고한다. Linear prediction은 음성 신호의 생성 원리와 연관성이 깊다. 아주 간단하게 말하자면 voiced speech에 있어서는 pitch period를 주기로 impulse train이 생성되고 이를 vocal tract parameter로 음성의 spectral shape이 입히어 실제 음성 신호로 나오게 된다. 이때 lin.. 2025. 3. 18.
Segmentation fault (core dumped) - pytorch 쓰는 와중에 에러가 생겼을 때 코드 돌릴 때 중간에 "죽었음"과 "Segmentation fault (core dumped)"는 너무 무서운 에러다.이유를 종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 내가 "Segmentation fault (core dumped)"를 마주해버렸다.  이 에러가 나오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사람들이 install된 torch 버전 문제를 논하는 것 같았다.  우선 내가 해결한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우선 nvcc -V를 통해 버전을 확인한다.12.1임을 확인했다.  2. https://pytorch.kr/get-started/previous-versions/ 링크를 통해 CUDA 12.1에 해당하는 것을 설치해본다.나는 최신 버전부터 하나하나 CUDA 12.1에 해당하는 것을 설치하며 에러가 뜨는지 안뜨는지 .. 2025. 1. 14.
[Git] commit하기 전 add 하기 전 git diff로 파일 변경 사항 확인하기 git status를 이용하면 어떤 파일이 변화되었는지 한눈에 볼 수 있지만정확히 어떤 부분이 어떻게 바뀐 것인지는 알 수가 없다.git commit하지 않고 어떤 부분이 달라졌는지 알 수 없을까?  이때  git diff filename 을 이용하면 어떤 부분이 어떻게 바뀐 것인지 상세하게 알 수 있다.git add나 git commit 같은 행위를 하지 않고 변경 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현재까지는 git diff를 통해 하나하나 파일들을 확인해보는 것인 듯 하다. 2025. 1. 9.
[데이터 전처리] 수식으로 신호 level 음량 LUFS 조절하기, 심리음향적 특성을 반영한 Loudness Units Full Scale Loudnessloudness는 사람이 인지하는 소리 크기를 반영하여 나타낸다. Root Mean Square (RMS), LUFS (Loudness Units Full Scale)가 대표적으로 있다. 그 중에서 사람의 frequency 별로 다른 resolution으로 인지하는, 심리 음향적 입장을 제대로 반영한 LUFS를 통해 signal level을 어떻게 조정하는지 살펴보자. 기존에 LUFS로의 signal level을 어떻게 조정하는지에 대해서 글을 쓴 적이 있다.  pyloudnorm의 integrated_loudness는 dB LUFS 값을 내보낸다. https://2bman.tistory.com/14https://2bman.tistory.com/14 본 글에서는 "어떻게" 조정하는 지에 대.. 2024. 8. 30.

TOP

Designed by 티스토리